성당과 시장 리뷰
모든 사람들이 개발자일 필요는 없지만, 코드를 들여다 볼 줄 알면 적어도 손해 볼 일은 없기 때문에 전공이 아니더라도 소프트웨어 개발 학습을 권장 한다. 코드는 컴퓨터와 소통을 하기 위한 언어이자,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에릭 레이먼드의 성당과 시장은 사회초년생이었던 나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어느 정도였냐면 인터넷 기반 기업들의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거품이 형성되었던 닷컴 버블 시기에 국내 기업들도 미래 먹거리를 위한 비전과 그에 따른 R&D 보다 단지 눈먼 돈을 벌기 위해 너도 나도 무리한 일정과 기능 검토 없이 프로젝트 수주와 기업 투자를 위한 임직원들의 월화수목금금금이 일상 이었던 2000년 당시 SI 신입 시절 한창 바빴을 시기였다.
연예나 취미도 모르는 집과 회사 밖에 몰랐던 내가 리차드 스톨만이 국내에 방한하여 연세대학교에서 강 연한다는 소식에 지금은 아니겠지만 당시에는 업무 시간에 세미나 가는 것이 일반적인건 아니어서 월차내고 무슨 예긴지도 모를 GNU 에 대한 강연을 들으러 찾아 갈 정도 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직업에는 나름의 역사가 있고, 대부분의 경우 직업군에 필요한 기초, 심화 이론을 정립해둔 공학적 접근방식의 선구자들이 있다. 개인적으로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기억이 남는 선구자는 3명인데 놀랍게도 모두 2025년에도 현역으로 활동중이다.
만약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는 분들중에 다음의 3명의 이름을 처음들어 봤다면, AI와 구글 검색으로 재미있는 일화들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 Linux 운영체제의 커널과 Git 개발자 "리누스 토발즈"
- Windows 11 운영체제의 핵심인 NT 커널 개발자 "데이비드 커틀러"
- GitHub 의 오픈소스 윤리를 공유하는 "리차드 스톨만"
최근 100년 사이에 인류의 문명 발전은 인간에게 적응할 시간도 없이 너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앞으로의 세대들이 받아들일 지식의 양이 어마어마 하다는 것은 웬지 안타깝기 까지하다.
이 글은 내가 왜 개발이 재미있고, 오픈소스로 HandStack 을 만들고 공유하고 있는지, 오래전 읽었던 성당과 시장을 글을 다시 읽어보며 아직 읽어 보지 않았던 소프트웨어 개발자 분들에게 공유하고픈 내용과 나름의 첨삭을 해본 잠시 읽어볼 만한 추천글이다.